Surprise Me!

[뉴스메이커] 이어령

2022-02-28 4 Dailymotion

[뉴스메이커] 이어령<br /><br />뉴스 속 주인공을 만나보는 시간, 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6일 별세한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의 빈소에 조문 행렬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대의 지성, 우리 시대의 스승으로 묘사됐던 이어령 선생님의 삶을 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만나봅니다.<br /><br />지금 들으시는 이 곡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주제곡입니다.<br /><br />손에 손을 잡고 벽을 넘어서 모든 진영이 참가하자는 의미가 담겨있죠.<br /><br />1988년 서울 올림픽의 대표 구호였던 '벽을 넘어서'라는 표어는 바로,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의 생각에서 탄생했습니다.<br /><br />개회식과 폐회식의 총괄 기획을 맡은 문화 기획자로서, 당시 최고의 명장면으로 꼽히는 '굴렁쇠 소년'을 연출하기도 했죠.<br /><br />그런데 고 이어령 선생의 빈소에서 선생이 88올림픽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바로 그 모습이 고스란히 드러나, 감동을 안겨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세대와 세대가, 진보와 보수가, 문화계와 언론계, 정치계까지 모두 '벽을 너머' 하나된 마음으로 이어령 선생의 별세 소식에 추모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죠.<br /><br />놀라운 아이디어를 가진 천재, 엄청난 다독가, 고인만큼 모든 분야를 통섭할 수 있는 사람은 못 봤다.<br /><br />그를 향해 쏟아지는 찬사와, 때문에 더욱 안타까운 별세 소식에 그는 또 한 번 우리 시대의 진짜 스승이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 이어령 선생의 별세 소식에, 이렇게 많은 이들이 하나 된 마음으로 안타까움을 나타내는 건, 그가 우리 시대에 남긴 삶의 흔적 때문입니다.<br /><br />20대 초반 문학평론가로 시작해 소설가와 시인은 물론, 언론인, 칼럼니스트, 문화 기획자, 교수, 출판인 등 그는 여러 방면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이며 큰 자취를 남겼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어령 선생은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 정서가 융합하는 '디지로그'라는 개념을 만드는 등 '창조자'로서 이 시대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기도 했죠.<br /><br />문화공보부를 공보처와 문화부로 분리하면서 1990년 출범한 문화부의 초대 장관을 맡아 문화정책의 기틀을 마련한 사람도 바로 이어령 선생이었죠.<br /><br />그러나 이어령 선생이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애착을 가졌던 건 글쓰기였습니다.<br /><br />60여 년간 수많은 저서를 집필하며 '한국 문화론'을 제시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죠.<br /><br />초기 대표작으로 꼽히는 '흙 속에 저 바람 속에'는 흙의 순서를 뒤집어 '저'를 덧붙인 제목만으로도 신선하다는 평을 얻었고, 이를 통해 '언어의 마술사'로도 불리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"삶과 죽음은 손바닥과 손등 같은 관계다 죽음을 조금도 두려워할 게 없다" 생전에 그가 남긴 죽음의 의미입니다.<br /><br />어느 날 신나게 애들이랑 놀고 있는데 불쑥 부르는 소리를 듣는 것. '그만 놀고 들어와 밥 먹어!'라며 엄마의 세계로 건너오라는 명령.<br />그렇게 죽음에 두려움 없이 떠난, 고 이어령 선생.<br /><br />그러나 선생의 별세 소식에 '벽을 너머서' 추모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건, 그를 차마 놓기 어려운 우리 사회의 아쉬움 때문이 아닐까요.<br /><br />지금까지 '뉴스메이커'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